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신성대   이경명   박세림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5.06.19 [10:21]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박세림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HOME > 칼럼 > 박세림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합기도총협회는 각성하라! 죽어가는 합기도 대련, 이대로 둘 것인가?
잃어버린 합기도 대련의 정체성, '메치기'와 '술기'를 되살려야 한다!
 
박세림 이학박사 기사입력  2025/05/15 [13:24]

▲ 박세림 이학박사 ©한국무예신문

대한체육회에 가맹되며 본격적으로 체육의 한 종목으로 인정받는 합기도는 많은 아쉬움이 남는 행정으로 술기에 이어 대련 경기도 기대와 다르게 전문화되지 못했다. 합기도 대련 경기는 두 사람이 상대를 발로 차거나 메치기와 걸기를 하고 때로는 술기까지 넣어 득점을 하는 경기 방식으로 단순히 득점 부위를 발로 차 승패를 겨루는 방식과는 수준이 다르다.

 

발차기 외에 메치기까지 허용하는 경기 규칙이라면 그에 맞게 경기 규칙 또 한 숙고(熟考) 해서 정해야 했다. 상대를 손으로 잡아 메치거나 때로는 술기까지 들어간다면 일단 양손이 자유로워야 하며, 도복과 띠 외에는 상체에 아무것도 부착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의복을 잡고 상대를 메칠 수 있도록 몸통 호구를 도복 안에 착용하도록 한다. 몸통 호구는 일반적인 태권도 몸통 호구와 다르게 크기가 작아야 한다. 몸에 밀착되고 앞으로 굽혀지는 호구는 이미 타() 단체에서 채택하여 경기에 사용해 왔다.

 

몸통 호구를 도복 안에 착용하고 경기를 해야만 합기도 대련 다운 경기가 나올 수 있다. 현재 총협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호구는 변경이 시급하다. 이미 1970년대 합기도 경기에서 호구를 도복 안에 착용하고 경기를 가졌는데 지금 합기도 대련 경기는 70년대 합기도 경기보다도 못한 수준으로 선수들이 제대로 실력 발휘를 하지 못하게 협회가 막고 있는 것이다.

 

▲ 사진자료. 1970년 1월 10일 대한뉴스 합기도 대련 장면.(영상 캡쳐)

 

술기에 이어 대련 경기마저 잘 못 된 행정으로 경기 자체를 망쳐 놓는다면 총협회의 집행부는 있으나마나 한 무능한 집단일 뿐이다. 간혹 태권도와 같이 수련하는 도장도 볼 수 있는데 발차기 위주의 대련이라면 태권도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예를 들어 태권도 선수 출신이 지금의 합기도 대련 경기에 출전한다고 가정해 보자. 짐작하건대 그 선수는 상위권의 성적을 낼 확률이 굉장히 높다.

 

이에 한판승 제도를 두어 하단 뒤돌려차기로 상대 선수가 두 발이 다 뜬 상태로 넘어질 경우 한판승을 주는 것이다. 많은 점수 차로 뒤지고 있던 선수도 한 번에 역전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기술인 것이다.

 

이렇게 제안한 경기 규칙을 적절히 접목한다면 가장 합기도 대련 다운 경기가 될 것이고 경기 수준에 맞게 선수들의 기량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25/05/15 [13:24]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 블루 2025/05/28 [16:29] 수정 | 삭제
  • 진짜 요즘 겨루기 보면 한숨이 나옵니다.
  • 合氣人 2025/05/26 [18:06] 수정 | 삭제
  • 지금 합기도 겨루기를 보면 태권도 선수가 다 바를거 같던데.
  • 무도인 2025/05/26 [13:21] 수정 | 삭제
  • 현재 합기도와 태권도의 겨루기를 살펴보면 합기도 겨루기는 너무 긴장감이 없어 흥미를 잃어가고 있는 듯 합니다. 필자의 기고글처럼 합기도와 태권도 경기의 차별성(메치기, 꺽기)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면 그리고 합기도만의 경기 규칙이 없다면 합기도 대련의 미래는 어둡다는 것에 동의하는 바입니다.
관련기사목록
[박세림 칼럼] 합기도의 대한체육회 정가맹, '아류'라 폄훼하던 그들은 지금 무엇을 생각할까 박세림 이학박사 2025/06/19/
[박세림 칼럼] 합기도에 녹아든 풍림화산(風林火山)의 전술 박세림 이학박사 2025/06/13/
[박세림 칼럼] ‘정체된 합기도’에 BJJ가 던지는 화두…끊임없는 기술 개발만이 살 길 박세림 이학박사 2025/06/09/
[박세림 칼럼] 일개 유튜버한테도 밀리는 정부의 무예 정책에 대한 관심 박세림 이학박사 2025/06/02/
[박세림 칼럼] 태권도와 합기도, 한국무예 미래 위한 그 찬란한 공존의 길 박세림 이학박사 2025/05/28/
[박세림 칼럼] 합기도총협회는 각성하라! 죽어가는 합기도 대련, 이대로 둘 것인가? 박세림 이학박사 2025/05/15/
[박세림 칼럼] 합기도 본산지 무시당하는 이유, 알고 보니 도주 며느리가 원인 제공? 박세림 이학박사 2025/05/06/
[박세림 칼럼] “나 원 참, 제도권 단체 수준이 영 아니올시다”…최용술 도주 이름 건 합기도 시범이란 게 국적불명 ‘듣보잡’ 무술 시범? 박세림 이학박사 2025/04/23/
[박세림 칼럼] “후학들에게 부끄럽지 않나?”…합기도단체장님들, ‘합기도 발전’에 관심이 있기는 있습니까? 박세림 이학박사 2025/04/08/
[박세림 칼럼] ‘첫 단추 잘 못 끼운’ 대한민국합기도총협회 박세림 이학박사 2025/03/19/
[박세림 칼럼] 70년대 합기도(合氣道) 수련 이야기 박세림 이학박사 2025/02/03/
[박세림 칼럼] [합기도칼럼] 합기도 원형 술기는 없다? 박세림 이학박사 2025/01/03/
[박세림 칼럼] [무예칼럼] 엄격한 스승 아래 훌륭한 제자 난다 박세림 이학박사 2024/11/18/
[박세림 칼럼] [무예칼럼] 중단된 세계무예마스터십 대회와 충주세계무술축제에 대한 단상 박세림 이학박사 2024/09/30/
[박세림 칼럼] [합기도칼럼] 합기도, 이제는 욕심을 버리고 서로 마주할 때다 박세림 이학박사 2024/09/23/
[박세림 칼럼] 도장에서 올바른 인성교육이란 박세림 이학박사 2024/09/18/
[박세림 칼럼] [합기도칼럼] 이제는 좋은 술기를 보여줄 때다 박세림 이학박사 2024/09/1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