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원이 국내 장애인 태권도 심사 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오는 6월 1일부터 심사 추천권 접수를 시작한다. 이는 장애인 태권도 수련을 장려하고 체계적인 승품·단 심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심사는 태권도 4단 이상, 세계태권도연수원(WTA) 장애인사범 자격을 보유한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사 추천권 접수를 받는다. 국기원은 2023년 7월 '장애인 심사제도 제정 TF팀'을 구성하여 일선 장애인 태권도 지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지난해 7월 '장애인 태권도 심사규칙'을 제정하며 제도 정비를 완료했다.
올해 10월 첫 시행될 장애인 태권도 심사는 정신적(지적·자폐·정신), 지체(상지·하지), 청각(언어),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응시 자격은 장애인등록증(장애인복지카드) 소지자에 한정된다. 심사는 1품·단부터 3품·단까지 시행되며, 향후 대상과 횟수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기원은 첫 시행인 만큼 지도자와 수련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심사 과목 영상을 제작하여 국기원 정보관리시스템인 티콘(TCON)을 통해 보급하고 있다. 이 영상은 각 장애 유형별(정신적, 상지 지체, 하지 지체, 시각, 청각·언어) 품·단에 해당하는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등 실기 심사 과목의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동섭 국기원장은 "약 2년간의 준비 끝에 장애인 태권도 심사 첫 시행을 앞두고 있다"며, "태권도 심사에서 장애인들이 소외받지 않고 나아가 태권도를 통해 희망과 꿈을 가질 수 있도록 국기원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심사 시행 내용은 티콘(TCON) 내 승품·단 심사의 장애인 심사 안내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