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태권도   합기도   검도   국술원   특공무예   전통무예   격투기   주짓수   도장뉴스   기타
편집 2025.06.19 [10:21]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태권도
합기도
검도
국술원
특공무예
전통무예
격투기
주짓수
도장뉴스
기타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HOME > 무예일반 > 태권도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국기원, 국내 장애인 태권도 심사 첫 시행…6월 1일부터 추천권 접수
장애 유형별 맞춤 심사 및 영상 자료 제공으로 태권도 수련 기회 확대
 
한국무예신문 기사입력  2025/05/20 [18:07]

▲ 국기원 로고



국기원이 국내 장애인 태권도 심사 시행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오는 61일부터 심사 추천권 접수를 시작한다. 이는 장애인 태권도 수련을 장려하고 체계적인 승품·단 심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번 심사는 태권도 4단 이상, 세계태권도연수원(WTA) 장애인사범 자격을 보유한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심사 추천권 접수를 받는다. 국기원은 20237'장애인 심사제도 제정 TF'을 구성하여 일선 장애인 태권도 지도자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지난해 7'장애인 태권도 심사규칙'을 제정하며 제도 정비를 완료했다.

 

올해 10월 첫 시행될 장애인 태권도 심사는 정신적(지적·자폐·정신), 지체(상지·하지), 청각(언어),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다. 응시 자격은 장애인등록증(장애인복지카드) 소지자에 한정된다. 심사는 1·단부터 3·단까지 시행되며, 향후 대상과 횟수를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국기원 정문

 

국기원은 첫 시행인 만큼 지도자와 수련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심사 과목 영상을 제작하여 국기원 정보관리시스템인 티콘(TCON)을 통해 보급하고 있다. 이 영상은 각 장애 유형별(정신적, 상지 지체, 하지 지체, 시각, 청각·언어) ·단에 해당하는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등 실기 심사 과목의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동섭 국기원장은 "2년간의 준비 끝에 장애인 태권도 심사 첫 시행을 앞두고 있다", "태권도 심사에서 장애인들이 소외받지 않고 나아가 태권도를 통해 희망과 꿈을 가질 수 있도록 국기원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심사 시행 내용은 티콘(TCON) 내 승품·단 심사의 장애인 심사 안내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25/05/20 [18:07]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