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3.28 [17:20]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무예이야기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무협(武俠)이란 무엇인가?
중국문화의 뿌리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기사입력  2012/01/18 [12:35]
광고
▲ 신성대 주필     ©한국무예신문
중국의 무협(武俠)에 대해서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소설이나 영화를 통해 모두에게 잘 알려져 있는 편이다. 필자를 비롯한 많은 무예인들이 6,70년대 불어닥친 중국 무협영화를 통해 입예(入藝)했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역사에선 이 무협이란 용어를 사용한 적이 없다. 유구한 역사와 드넓은 영토, 끊임없는 황하의 몸부림, 풍족한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피어난 화려한 문화, 이를 탐내고 끊임없이 쳐들어오는 북방의 오랑캐들, 아무튼 나라가 크면 전란은 끊임없고 자연히 무(武)를 숭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영국의 웰스는 《인류의 운명》에서 "대부분 중국 사람들의 영혼 속에는 한 명의 유가(儒家), 한 명의 도가(道家), 그리고 한 명의 도적이 싸우고 있다"는 관점을 인용하였다. 문일다(聞一多)는 웰스가 말한 '도적'은 중국 무협을 포함하고 있고, 도가는 다만 유가에 대한 보완일 뿐이라고 했다. 근래 어떤 학자는 "묵협 정신(墨俠精神)이 민간 문화를 이루어 상층 문화 정신과 대립하고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 바 있다. 현대 작가 심종문(沈從文)은 "민간사회 중에서 유협 정신(遊俠精神)이 침윤(浸潤)되어 과거를 만들었고 미래도 형성하게 될 것이다"라고 했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상하층 문화 중에서 유(儒)와 협(俠)은 중국 전통문화정신의 중요한 두 체제인 것이다.
 
중국에 있어 협(俠)은 유(儒)와 마찬가지로 선진(先秦)시대에 나타나 지금까지 계속 존재해 오고 있는 오랜 역사를 지닌 사회 계층이다. 협(俠)과 유(儒)의 문화 정신은 일종의 초월 의미(超越意味)를 내포하고 있어 심리적으로 광범위하고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며, 중국문화의 심층구조에 침투해 있다. 중국 지식인의 영혼 속에 부지불식중에 유(儒)의 그림자가 숨겨져 있다면, 중국 평민의 마음 깊은 곳에는 협(俠)의 그림자가 희미하게 반짝이고 있다. 그러므로 중국 역사상의 무협현상을 연구하는 것은 중국문화 기초인 민간문화의 뿌리를 깊게 연구하고, 이를 전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일이다.” 진산(陳山)의 《중국무협사(中國武俠史)》에서
 
중국의 선진(先秦)시대에는 온 백성이 검(劍)을 숭상하고 무예를 익히는 사회적 기풍이 농후하였다. 그리고 춘추 시기에 이르러서는 그동안 무사 계층을 의미했던 '사(士)'가 분화되어 문사(文士)와 무사(武士)로 나누어지게 된다. 춘추 말기에는 전문 자객의 출현을 보게 되고, 전국시대에는 군웅(群雄)들의 할거 속에 유협(遊俠)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양한(兩漢)시대에는 드디어 본격적인 무협(武俠)의 형태가 갖추어지며, 수많은 협객(俠客)과 호협(豪俠)이 생겨난다.
 
송대(宋代)에는 도시 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근대 협(俠)의 형태인 무림(武林)이 형성되고, 그들의 무덕인 '협절(俠節)'이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비로소 협의(俠義) 소설이 등장하며 무협문화가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명청(明淸) 양대에 이르러 중국무술은 최고조에 달해 소림(少林) ․ 무당(巫堂) ․ 아미(蛾眉) 등 많은 유파들이 등장하여 본격적인 무림시대를 열었다.
 
▲ 자료사진. 곽원갑 
1911년 손문(孫文)이 일으킨 신해혁명(辛亥革命)으로 청(淸)이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탄생하였지만 백성들의 삶은 더욱 피폐하여지고 외세에 의한 굴욕감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시대적인 상황에서 문무를 겸전한 진정한 무인(武人)들이 백성을 보호하고 기강을 잃은 사회에 구심적 역할로 나서게 되었으니, 그 시발점이 바로 “정무체육회(精武體育會)”였다. 당대의 무인(武人)들은 무술의 본질적인 가치에 유의하게 되어 “정무체조학교(精武體操學校)”학교를 설립하고 북방의 저명한 무술가인 곽원갑(霍元甲)을 초빙하여 무술교습을 주재하게 하였다. 곽원갑 권사가 해(害)를 당한 후 1915년에 “정무체육회(精武體育會)”로 개명하여 학과를 증설하고, 서양의 체육을 수용하여 본격적인 무술진흥 활동을 벌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중국인의 마음, 중국인의 기질, 무협(武俠)
 
흔히 중국의 무예인들은 '무협(武俠)' 혹은 '협객(俠客)'으로 불리길 좋아한다. 그렇다고 무림의 사람들 모두가 무협이 될 수는 없었다. 사람들은 무덕(武德)으로써 평가한 연후에야 몇몇 이들을 무협으로 인정하였다. 무덕의 품위면에서 고상한 품격과 절개를 지니고, 행동 방식에서 두드러진 사람들만을 무협이라 하였다. 그들은 의(義) ․ 절(節) ․ 명(名)을 최고의 도덕규범으로 삼아 평생 동안 추구하였다. 또한 무림의 협사들은 의협(義俠)한 사람의 개인 존엄을 생명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간악함을 혐오하여 용서치 않았다. 또한 그들은 사제(師弟) 관계를 무엇보다도 중시하였으며, 정파는 물론 비록 녹림(綠林)의 무리일지라도 신의(信義)를 목숨처럼 아꼈다.
 
중국의 무협은 서양의 기사(騎士)나 일본의 무사(武士)와는 달리 하층사회 대중문화의 산물이다. 따라서 그들의 가치 관념은 순박성을 띠고 있다. 서구의 기사처럼 사회의 어떤 추상적인 종교 정신이나 행위 규범에 대한 의무감이나 사명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또한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주군에 대해 어떤 책임도 없었다. 그들은 우의(友誼)를 매우 중시하여 동지와 의기투합하고, 친구의 어려움을 보면 죽음을 불사하고 뛰어들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해 깊은 동정심을 가지고 있어, 가족 관계나 이해관계에 상관없이 불의(不義)나 불공평을 보면 의기(義氣)를 발휘하여 칼을 뽑기를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협(俠)이 다분히 인정(人情)에 기인하였으며, 이성과 실리가 기준이 되는 가치관이 아니었음을 말해 준다.
 
현대 중국인의 마음속에 자리한 협(俠)은, 실상 송대(宋代) 이후 세속화된 근대 협(俠)이다. 청대(淸代) 중기를 지나면서 실제 무림(武林)이 사라지고 무협소설 등 대중문화 상품이 점차 발달하여 확산되자, 협(俠)은 이제 중국인의 순수 정신현상으로 자리하게 된다. 그리하여 현대 민간사회 속에서 역동적으로 살아 움직이며 중국 현대화의 거대한 동력이 되고 있다.
 
문무균형으로 번영을 구가하는 중국
 
▲ 굴기외교 [崛起外交 ]는 중국이 최근 추진하는 외교전략이다. 미국은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을 세계에서 가장 위협적인 국가로 보고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한 상태다. 굴기외교는 이러한 중국 위협론을 완화시키는 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중국 역시 지난 한 세기 동안 어느 나라 못지않은 격렬한 역사적 진통과 굴욕을 겪었다. 그 가운데 가장 특이한 일은, 어쩌면 당연했을, 신해혁명이 일어나면서 수천 년 중화사상의 대들보인 유학을 담장 밖으로 내던져 버린 것이다. 공귀(孔鬼) 때문에 나라가 망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 사회주의의 등장은 썩은 문(文)에 대한 무(武)의 전복이라고 볼 수 있다. 문약(文弱)해 빠진 늙은 왕조에 대한 염증에서 절대 권력에 의한 무치(武治)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장제스(蔣介石)와 마오쩌둥(毛澤東)은 둘 다 무장임에도 불구하고 성격면에서 문무(文武)의 대별이었다. 덕분에 제국주의로부터 온전히 나라를 지켜낼 수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무(武)로써 무(武)를 막아낸 것이다.
 
그렇지만 무치(武治)의 한계를 넘어설 수는 없는 법. 죽(竹)의 장막으로 간신히 13억 인구 굶기지 않았다는 것 이외엔 그다지 한 일이 없어, 또다시 세계사의 뒤안길로 밀려날 처지에 직면하게 된다. 다행히 덩샤오핑(鄧小平) 시대를 맞아 급격히 개방의 문을 열기 시작하였다. 총칼로 짓는 농사로는 더 이상 늘어나는 인민을 먹여 살릴 수 없음을 뒤늦게 깨달았던 것이다. 결국 무치(武治)에서 문치(文治)로의 전환은 수많은 문사(文士)를 필요로 하였으니, 공자(孔子)의 부활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지 않은가.
 
개방 후 30년, 바야흐로 현재의 중국은 역사상 그 어떤 시대에도 이루지 못했던 비약적인 번영을 구가하고 있는 중이다. 옛 수당(隋唐)의 영화도 아마 이보다 더 하지 못했을 것이다. 문무(文武)가 극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시기를 맞은 것이다. 오늘의 중국이 지향하는 모델은 더 이상 한국도, 일본도 아니다. 바로 미국이다. 이제 모든 길은 중국으로 통한다. 그들은 한족(漢族) 중심의 중화사상을 지양하고, 대중국(大中國) 합중국(合衆國)을 지향하고 있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결합, 합리적 사회주의, 신사회주의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가고 있다. 그 중심에 무협(武俠) 정신이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2/01/18 [12:35]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 중국무예 2012/01/19 [17:27] 수정 | 삭제
  • 중국은 60~70년대 문화 대혁명을 핑계로 많은 문화역사를 왜곡하고 있습니다. 무예도 그중 하나입니다. 어떤 설화나 그림 또는 소문등을 마치 근거 있는 것처럼 확대해석하여 역사성이 입증된 것 처럼 사실화 하려는 움직임이 많습니다.
    예를들어 소림무술 같은 경우 홍콩에서 제작된 영화에서 유추하거나 영감을 얻어 마치 수천년동안 내려온 무술처럼 조작하고 있습니다. 역사자료의 기근을 해갈하려고 우리역사를 자기네 역사로 무단 편입하여 사실화 하려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목록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조선세법24세』와 거정세(擧鼎勢) 신성대 주필(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5/06/29/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본국검(本國劍)과 독립세(獨立勢) 신성대 주필(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5/06/23/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한국 씨름 어디로 갔는가?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2/04/23/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십팔기(十八技)는 조선 국기의 정명(正命)이다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2/04/14/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택견이란 무엇인가?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2/03/17/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무협(武俠)이란 무엇인가?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2/01/18/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권법(拳法) 혹은 권술(拳術)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2/25/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이름(名) 하나 얻는다는 것은?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2/22/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전통무예와 호신술, 그리고 놀이의 구분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2/16/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십팔기, 마상무예 그리고 사물놀이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0/31/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검법(劍法)의 구성 원리와 서법(書法)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0/11/
[신성대의 무예이야기] 무예(武藝)와 무술(武術), 그리고 무학(武學) 신성대 전통무예연구가(도서출판 동문선 대표) 2011/10/0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