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편집 2024.03.28 [17:20]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섹션이미지
신성대
이경명
김정록
김혁출
고성규
김용철
이호철
이지성
이송학
이창후
고영정
기고
역사산책
무협소설
무예이야기
축사
공지사항
회사소개
광고/제휴 안내
개인보호정책
청소년보호정책
기사제보
HOME > 칼럼 > 이송학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태권도 십진 품새 의의와 기법 풀이
"새 품새 개발은 속도보다 방향과 깊이가 우선이다"
 
이송학 박사 기사입력  2017/08/09 [14:45]
광고
▲ 이송학 박사     © 한국무예신문
품새(品勢)는 상대방 없이 혼자 하는 겨루기 연습이다. 가상의 적을 상대로 겨루기 연습을 하는데 연무선에 근거하면 2명~6명을 상대한다.

현재 수련되고 있는 국기원 공인 유단자 품새는, 1967년도에 대한태권도협회에서 품세(品勢)란 용어로 제정되었으며, 그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여러 가지 무술에 비해 실전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공인 품새의 낮은 실전성과 경기 품새로써의 변별력 미흡, 관중의 흥미 저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제기하며 새로운 품새 개발이  진행 중이다.

현재의 공인 품새는 각각의 품새마다 규정된 형식과 의의(意義)가 있다. 의의란, 품새에 있어서 몸이나 손발의 움직임이 현실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관되면서 적용되는 가치라 할 수 있다. 작금의 품새계의 현실은, 각각의 품새가 지닌 의의를 미처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으며 기법도 지도자마다 다른지라 실용성이 명확하지 못한 상태이다.
 
시대적 상황에 맞게 새로운 품새를 개발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조급한 실적 만들기에 얽매여 현재 공인 품새의 부족함만을 부각시켜 새로운 품새 개발에 열을 올리는 행정가의 선택이 기존 공인 품새를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한 채 미숙한 품새를 만드는 어리석음을 반복 하는 것 같아 불편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새로운 품새 개발은 “속도 보다는 방향과 깊이가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아직도 미지의 세계인 십진 품새 속으로 들어가 보고자 한다.

국기원에서 발행한 서적에 의하면, “품새 수련 상 첫 번째 유의점은 품새의 의의와 구성 원리를 터득하는 것이다.”라고 되어 있다.

십진품새의 의미 : 『자연숭배의 원시신앙에서 나온 십장생(十長生)은 해와 산, 물, 돌, 소나무, 달, 불로초, 거북, 사슴, 학을 말한다.

이러한 것은 십진사상(十進思想)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간생략)
동작의 형태는 손바닥 거들어 막기를 주로 응용하였다.

이 품세의 중요한 생명은 완만성(緩慢性)과 절도(節度)를 넣어 변화하는 동작에 안전성을 그대로 적용한 점이다.

완만성으로 움직일 때에 인체의 모든 근육과 신경을 부드럽게 하면서 절도를 유지하여 십장생과 십진법이 일치하도록 한 것이 바로 품새 십진이다.』
 
위 내용은 대한태권도협회에서 1975년도에 발행한 「태권도교본」에 실린 내용을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그 이후 국기원에서 발행한 「국기태권도교본」에는 십진품새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내용들을 빠트려 참고하지 않았다.
 
위 교본에 의하면 십진 품새의  핵심은 완만성과 절도이다. 완만이란, 움직임이 느릿느릿 함을 말하며 십장생을 의미한다. 절도란, 일이나 행동 따위를 정도에 알맞게 하는 규칙적인 한도를 말하며 십진법을 의미한다. 의미를 볼 때 ‘황소를 마음에 두고 만든 품새임을 알 수 있다.’

표1) 부분별 의미가 반영된 동작
 십진품새의 부분별 의미  부분별 의미가 반영된 동작
 자연숭배의 원시신앙에서 나온 십장생  자연을 숭배하고 원시신앙과 가장 관계가 깊은 문화인 농경사회를 반영하였다.
(황소막기, 멍에치기, 쳇다리지르기)
 십장생중 산, 돌  산에 있는 돌을 바위로 반영하였다.
 
표2) 십진 품새의 핵심 의의가 반영된 동작원리
(완만성과 절도를 넣어 변화하는 동작에 안전성을 그대로 적용한 동작)
 순 번  동작(순서)  완만성  절 도
 1  1동작  힘을 주어 서서히 위로 들어 올리면서 가슴에 이르러  힘 있게 위로 치켜 황소막기 한다.
 2  3동작  주먹의 손가락을 펼 때는 힘을 주어 서서히 편다.  찌르기는 빠르게
두 번 지르기도 빠르게 한다.
 3  8동작  주먹의 손가락을 펼 때는 힘을 주어 서서히 편다.  찌르기는 빠르게
두 번 지르기도 빠르게 한다.
 4  13동작  주먹의 손가락을 펼 때는 힘을 주어 서서히 편다.  찌르기는 빠르게
두 번 지르기도 빠르게 한다.
 5  15동작
   →
16동작
 허리부터 두 손바닥을 벌려 온 몸에 힘을 주어 서서히 앞으로 민다.  손날 등 헤쳐막기 한다.
 6  17·18동작
   →
19동작
 17·18동작은 한데 이어서 서서히 행한다. (헤쳐 아래막기는 서서히, 주먹은 힘 있게 천천히 쥐며 서서히 무릎을 펴서 일으키며 선다.)  빠르게 끌어올리기 한다.
 7  20동작
   →
21~23동작
 허리부터 두 손바닥을 벌려 온 몸에 힘을 주어 서서히 앞으로 민다.  두 주먹을 잡아다리어 돌쩌귀 앞차고 쳇다리지르기 2번,  두 주먹을 잡아 다리어 돌쩌귀 앞차고 등주먹 거들어 앞치기
 8  24동작

25동작
 허리부터 두 손바닥을 벌려 온 몸에 힘을 주어 서서히 앞으로 민다.  왼발 뒤로 끌어 들여 왼 범서기 손날 엇걸어 아래막기 동작을 빠르게 한다.
 
위 8개의 동작이 십진 품새의 핵심의의인 완만성과 절도가 반영된 기법이므로 제정자의 의도대로 올바르게 수련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표3) 십진 품새의 궁금증 풀이
(십진 품새는 자연을 숭배하고 원시신앙과 관계가 깊은 농경사회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들을 도입하였다.) 
용 어  이미지  풀 이
황소막기

움직임이 느릿느릿하면서 일이나 행동을 정도에 알맞게 하는 대상으로 힘이 세고 인간과 오랜 세월을 같이 해 온 황소를 도입하였다.

특히 황소의 소싸움 기술 중 상대소와 이마를 맞대고 힘으로 서로 버티기 하다가 세게 밀쳐내고 좌·우로 뿌리치며 공격하여 물리치는 대표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무예와 연계 하였다.


황소막기 한 두 주먹을 양 옆으로 벌리는 것은 소싸움에서 상대소를 힘차게 밀쳐내며 좌우로 뿌리쳐 물리치는 동작을 표현한 것이다.
멍에치기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소는 농사를 짓기 위해 길렀으며 멍에는 수레나 쟁기를 끌기 위하여 소의 목에 얹는 구부러진 막대이다.


두 팔굽 양쪽 바깥치기 기술이 멍에와 유사해서멍에치기라 정했음을 알 수 있다.
바위밀기


 커다란 바위같이 꿈적도 하지 않는 상대를 황소같은 뚝심으로 밀쳐 내는 기술로써 용력을 키우며 건강과 장수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달마역근경 출조양시세(出爪亮翅勢) 동작을 참고했을 가능성이 있다.
쳇다리지르기


 쳇다리란, 체로 받거나 거를 때에, 그릇위에 올려 그 위에 체를 올려놓는데 쓰는 기구이다.


두 주먹으로 동시에 지르는 모습이 쳇다리를 닮았다 해서 쳇다리지르기로 정한듯하다.
 
십진품새의 구성은 특별히 황소막기, 멍에치기 2번, 바위밀기 3번, 쳇다리지르기 4번이 나오는 것으로 볼 때 농경문화와 십장생 문화를 반영하였다. 또한 무예와 농경문화를 연결시킨 것을 보면 고려시대부터 내려져 오던, 「평상시에는 농사를 짓다가 농한기에는 훈련을 하고 유사시에 소집되어 전쟁에 참여하는 병농일치제」문화를 엿볼 수 있으며 특별히 바위밀기의 3번 등장은 매우 의미가 크다.

표4) 바위밀기의 다양한 의의
 실제 바위밀기  십진 품새 바위밀기 무예적용 바위밀기 
크고 무거운 바위를 밀어내기 위해서는 큰 힘과 강한 의지가 필요하며 불가능한 일을 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정신력과 체력을 길러야 한다.

장수하기 위해서는 근육과 뼈를 단련해야 하고 호흡을 느리고 길게 해야 한다는 생각을 십진품새의 바위밀기에 반영하였다.

바위밀기 동작을 실제겨루기에 반영해보면 다음과 같다.

「온 몸을 이용하여 상대와 실제로 겨루다 보면 서로 뒤엉켜 싸우게 되고 상대가 나를 강하게 감싸 안을 수 있다. 바위처럼 육중한 상대를 황소의 뚝심으로 밀쳐내는 것이다.  내손의 위치와 상대와의 거리에 따라  늑골과 명치, 가슴, 목과 턱을 밀어낼 수 있다.」
 
십진품새의 바위밀기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다른 무예 중 바위밀기 형태와 의의에 있어 유사성이 있는지를 조사해본 결과 중국의 달마역근경에서 발견하였다.

달마역근경은  중국 당나라 시대에 불교의 시조인 달마대사가 승려들의 건강을 위해 저술했다는 건강 서적이다. 서서하는 12가지 방식이 있으며 제6식 출조양시세는 다음과 같다.

표5) 바위밀기와 유사한 달마역근경의 「출조양시세(出爪亮翅勢)」
(숨겼던 양손을 앞으로 힘차게 내민다.)
    用力收回處(용력수회처) 
    功須七次全(공수칠차전)     
    挺身兼怒目(정신겸노목)
    推手向當前(추수향단전)
 달마역근경의 출조양시세는 근육과 골격을 단련하는 외공이며 심력과 체력을 증강시키는 자세이다. 허리에 숨겼던 양손을 앞으로 내밀며 주로 호흡을 느리고 길게 하며 밀고 당기는 동작이 있으며 하늘 끝을 투시하는 연공이 있다.
 
1967년 당시 도제식 수련형태와 구결 교육방법으로 인해 십진품새에 대한 섬세한 설명이 빠져있지만 품새 안에 내포되어 있는 품새 의의를 찾아내려는 깊은 노력도 하지 않은 채 십진품새 1동작처럼 함부로 원형을 훼손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처음부터 정확한 뜻을 찾아내기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많은 태권도인 들이 공부하는 자세로 관심을 갖는다면 하나씩 하나씩 밝혀지고 축적되면서 품새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날이 오리라 본다.
 
제정 된지 50년 된 공인 품새 속에는 전통사상과 그 시대의 관습과  행동양식이 담겨 있다. 그 안에 무엇이 담겨 있는지 보지도 않고, 궁금해 하지도 않은 채, 그냥  겉모습만 보고  쓸모없는 구식이라고 외면하고 있는지 되새겨 볼 일이다.

참고문헌 및 자료
국기원(2016). 태권도교본
네이버(2017). 사전 및 이미지 검색
대한태권도협회(1975). 태권도 교본
황 기(1970). 수박도 대감
Google(2017). 사전 및 이미지 검색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밴드 네이버
기사입력: 2017/08/09 [14:45]  최종편집: ⓒ 한국무예신문
 
  • 도배방지 이미지

  • 김성진 2017/09/17 [17:29] 수정 | 삭제
  • 새로운 품새를 만드는 행위는 반대합니다 쉬운게 강한것입니다 나머지는 자유 품새에 맡기면 되는 데 왠 오지랖이 넓은지 전부 탁상행정의 결과물들 아닐까요
  • 김성진 2017/09/17 [17:26] 수정 | 삭제
  • 안녕하세요 박사님의 글 참 재미있게 보고 있는 독자입니다 품새 와 새로운 품새 개발 요즘은 게을러 져서 일주일에 2번이상 태극 1장에서 일여까지 연습을 하죠 물론 저는 동양무술을 모두 섭려한 저로서는 객관적 의견을 말씀드립니다 품새의 각 기 동장의 의미도 제대로 모르면서 새로운 품새에 목을 맨다 ( 100% )공감합니다 늘 품새를 연습하지만 가장 쉬운것이 가장 세계적인 무술이 된다에 1표 행사합니다 복싱 세계화 성공 레슬링 세계화 성고 유도 세계화 성공 태권도 세계화 성공 모두 공통된 점은 타 격투기보단 익히기가 쉽다입니다 무에타이 단순 하고 쉬운 동작들이죠 물론 세계화의 요소들중 문화 종교 소득수준미디어의 영향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있지만 중요한 부분은 배우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죠 우슈 (비현실적인 동작들로 구성되어 있죠 자국 중 국 인들도 어려워 하죠) 가라데( 많은 유파들의 품새와 각 유파들 고유의 표현 방법) 어렵죠 ㅋㅋㅋ 얼마전 우슈 태극권 하시는 분이 웨이트 리프팅 연습차 저희 훈련장에 방문한적이 있습니다 저의 십진 연습을 보곤 와 이런것도 있네요 해서 태극권 과 유사한 정적 부분의 동작이 내포된 것도 있습니다 물론 십진이 가라데의 밧사이데 엔피 그리고 평안1단 ~평안 5단 의 기본동작으로 구성된 유사점도 말했는데 그분의 말씀 모든 격투기는 시작은 다르나 끝은 같네요 라 하더군요 저또한 같은 생각이고요 암튼 오늘 잼나게 읽고 잼나게 댓글 쓰고 갑니다 좋은 하루되십시요
  • 품세 2017/08/11 [10:37] 수정 | 삭제
  • 품세가 품새보다 좋은것 같은데 왜, 품새로 바꾸었는지 답답합니다.
  • 관장 2017/08/10 [09:54] 수정 | 삭제
  • 상당히 일리 있는 내용입니다. 품새를 제대로 표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 사범 2017/08/09 [17:52] 수정 | 삭제
  • 무슨 창작무협지도 아니고 십집품새란 품새선이 한자의 열십 이라 그속에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황소와 십장생과 무슨관계가 있는것 처럼... 바위밀기가 달마대사의호흡법이면 태권도는 중국 당나라 호흡법인가? 태권도의 품새는 가상의 상대와 수련하는 겨루기이다. 그속에서 길을 찾자
관련기사목록
[이송학칼럼] 태극 6장과 팔괘사상의 6번째인 감(坎)의 관계 이송학 박사 2018/11/16/
[이송학칼럼] 품세의 원천기술 “굴러 딛기”와 신기술 “짓찧기” 탐색 이송학 박사 2018/09/11/
[이송학칼럼] 태권도 정체성 확립과 이미지 제고를 위한 유급자 띠 체계 조사연구 이송학 박사 2018/02/06/
[이송학칼럼] 태권도 십진 품새 의의와 기법 풀이 이송학 박사 2017/08/09/
[이송학칼럼] 태권도 띠에 새겨진 이름, 어느 쪽이 옳을까? 이송학 박사 2016/07/25/
[이송학칼럼] 품새수련은 국기원 규정을 준용(準用)해야 한다 이송학 박사 2016/01/13/
[이송학칼럼] 불교사상이 접목된 금강품새 고찰(考察) 이송학 박사 2015/10/23/
[이송학칼럼] “태권도 품새의 꽃은 고려품새이다” 이송학 박사 2015/08/21/
[이송학칼럼] ‘팔괘 사상’과 ‘태극7장’의 뜻을 재해석해보며… 이송학 박사 2015/08/0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
광고
  회사소개광고/제휴 안내개인보호정책청소년보호정책기사제보보도자료기사검색